[윤활유 기본정보] 제조과정
윤활유에는, 순광유(윤활기유) 및 순광유에 각종 첨가제가 함유된 첨가유의 두가지로 나뉘며
아래와 같은 제조 공정도를 거쳐서 제조된다.
- 1단계 : 유전(원유)
원유는 파라핀계,나프텐계,아로마틱계와 혼합계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은 탄화수소 결합 구조의 차이이며 성질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다.
- 2단계 : 상압증류
상압 증류 공정에서는 원유중에 가스, 가솔린, 석유, 경유, 증유를 끓는 온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해내고 있으며,
이중 중유분이 윤할유의 원료가 되어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게 된다.
- 3단계 : 감압증류
감압 증류 공정에서는 증유가 대단히 고온에서만 증류되므로 진공 상태 하에서 증류시켜 아스팔트와 윤활유 원료가 될 수 있는 기유 원료를 분리해 낸다.
- 4단계 : 탈 아스팔트
탈 아스팔트 공정에서는 솔벤트로 프로판을 이용하여 기유중에 함유된 아스팔트분을 제거한다.
기유에 아스팔트분이 소량이라도 함유되면 색상이 어둡고 사용중 카본 부착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기유에 아스팔트분이 소량이라도 함유되면 색상이 어둡고 사용중 카본 부착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 5단계 : 용제추출 / 수소첨가개질
옹제추출 공정 또는 수소 첨가 개질 공정에서는 기유 중 함유된 방향족이나 불포화 화합물을 퍼프랄(Furfural)이나 액체 이산황유황 용제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이 물질들은 불안정하여 사용중 바니스 카본 타르와 같은 반고체상의 해로운 물질로 변하기 때문이다.
- 6단계 : 왁스제거
왁스 제거 공정에서는 기유에 함유된 왁스 메칠 에칠 케톤(Methyl Ethyl Ketone), 톨루엔(Toluene) 용제를 사용하여 제거 시킴으로써 오일을 저온에서 사용할 경우 유동성이 양호하도록 한다. 최근에는 고점도 자수를 가진 기유 생산을 위하여 Catalyst를 이용한 왁스 제거 공정이 사용 된다.
- 7단계 : 수소처리
수소 처리 공정에서는 고온에서 수소를 이용하여 기유중에 함유된 유황을 제거하고, 안정성을 높여주며 색상을 개선시켜 준다.
- 8단계 : 배합공정 / 첨가제제조
배합 공정에서는 용도에 따라 점도에 맞도록 기유를 선택한 후 용도에 따른 첨가제와 혼합하여 균일한 상태의 오일을 제조하여 포장 공정으로 보낸다.
그리스의 경우는 선택된 기유에 다양한 금속비누를 넣어 반응시킨 후 첨가제가 보충된다.
- 9단계 : 품질 및 성능시험
품질 검사를 거쳐 규격 내에 합격하는 경우 출하가 이루어진다.
- 10단계 : 포장
소비자의 다양한 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박스, 페일, 드럼 등 여러 종류이 형태로 제품을 포장한다.
Andrew.Byeon@gmail.com
With my honor
No comments:
Post a Comment